top of page

Hanji (한지)  |  Korean Traditional Handmade Paper

Hanji
Hanji
Coloured Hanji
Coloured Hanji
Hanji - Production Process
Hanji - Production Process

What is Hanji?

Hanji is a Korean traditional handmade paper made from the bark of mulberry tree.
Mulberry trees grow in low-lying hills and fields throughout Korea and are often found on ridges around dry farmland and on the slopes of small mountains. Korean mulberry tree fibers are especially long, resilient and shiny. Hanji lasts for more than 1000 years, and despite its durability, its surface is still smooth. Due to its unique characteristics, the manufacturers of Hanji have relied on the bark of mulberry tree for more than 1600 years.

 

Hanji has five unique characteristics:

  • Lasts for more than 1000 years

  • Extremely durable, yet smooth to the touch

  • Permits ventilation

  • Retains hit as well as cotton

  • Shiny and translucent

History of Hanji

Hanji has two general uses - as stationery and as everyday household good. With its fine texture and smooth surface, brush strokes of ink on Hanji appear deep and elegant. Therefore, Hanji has been popular for calligraphy and printing for centuries. Due to its remarkable durability, it was also used in recording of important documents. Avatamsaka Sutra, a copy of famous Buddhist text believed to have been written in 755 A.D., includes by far the most complete record of early Korean paper making, with a description of how craftsmen of Shilla dynasty used mulberry paper to print Buddhist sutras. In trade with Song dynasty of China, Koryo dynasty of ancient Korea (A.D. 1145 – 1188) exported a lot of white Hanji, which the Chinese regarded as the world’s finest and used for writing of Buddhist sutras.

The Uses of Hanji

Hanji has also been used extensively in Korean households and everyday life. From the 15th century on, the paper was used in variety of handicrafts, especially for clothes and accessories: coats, hats, garments, curtains, purses, armors, tubes for arrows, ammunition cases, ropes, rings, baskets and seed cases. Hanji was also used in furniture and building. Other common paper products included containers for the storage of rice, corn, peas and other grains. These paper crocks were cured in oil, making them not only insect repellent but also humidity resistant.

 

Hanji has been essential in creating a harmonious home atmosphere for Koreans. In the old times, Korean people believed through the cold, windy winter in houses with doors and windows covered with no more than a single layer of Hanji which was also laid to the floors – a great testimony to Hanji’s utility. Because Hanji is translucent, it conducts light into a room when pasted on latticed windows and doors. At night, the moonlight shines through Hanji windows to create a calming, cozy atmosphere.

 

In traditional Korea, paper craft was practiced not only by skilled artisans but also by common people. Even retired men of the noble class would make simple objects, such as tobacco cases and chess boxes from Hanji torn out of old books. Servants would also make simple pieces in their spare time, as well as Buddhist monks who had plenty of old books around and found the craft a good way to spend their leisure time in the temple. The tradition of using print paper continues to this day in Korea, as a reminder of Korean ancestors’ frugality and respect for the environment.

Hanji Today

After reaching its economical prosperity in the 1980’s, Koreans have become more aware of their unique cultural heritage of five thousand years. Contemporary artists have started to rediscover their own cultural tradition sand identity, which have been threatened by modern times and Western influence. In recent years, the use of Hanji has been rediscovered in both contemporary and traditional art.

Hanji Paper in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Hanji was used extensively in traditional Korean homes. Air and light through paper windows and walls from paper covered lattice window and doors. Renowned for its durability and translucence, Hanji has long been used for recording and household purposes. Despite the onslaught of Western architecture, the latticed paper doors and windows of old Korea remain an important part of modern life today.

Hanji - Production Process

The production of Hanji is an intricate process with 13 steps:

1) Harvest

To make Hanji, cut one–year-old branches from a mulberry tree, between the month of November and February of the next year.

2) Steaming and peel the bark

The branches of Mulberry tree are steamed and then the bark is peeled. The first layer of bark is called the "dark bark”. After the outer layer of the bark is obtained, it should be dried sunshine to prevent freezing.

3) Creating "white bark"

The dark skin must be socked in cold water for one night and it is scraped with a metal tool. Get rid of the black cuticles from the "dark bark” and hence obtaining "white bark”. Whitening would require bleach, which tends to weaken the fiber. If it is high quality, Hanji is to be produced from this material without using bleach. Since white skin retains a tinge of brown, the colour of traditional Hanji is delicate beige.

4) Boiling in lye

The white bark must be thoroughly boiled in lye (ashes made from burnt bean stalks, buckwheat straw, pepper stalks, cotton stalks) for 6~7 hours.

5) Rinsing

The boiled fibers are washed with stream water to remove the lye and left to dry in the sun, which further whitens the fibers.

6) Removal of impurities

This time-consuming stage involves picking foreign substances out of the fibers by hand.

7) Beating

The wet fibers are then placed on a flat surface, such as rock, and beaten into a pulp. In modern paper manufacture, a machine is used in this process. However, no machine is used in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Hanji because the blades would damage the fiber.

8) Stirring

Beaten fiber is carefully mixed with water. After pouring the crushed fiber into the water in the tank, Takpul (sticky fluid from the roots) is added as a gluing agent. Water is essential ingredient in paper-making. In order to make a resilient paper, the water must be pure and soft, with low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

9) Mixing takpul & mulberry starch

Takpul releases gluten, a substance that acts as a natural gluing agent, which ensures even mixture of the crushed fiber and ultimately, Hanji’s power to be against the test of time.

10) Straining the fiber

The cleaned fibers are strained through a bamboo screen, which is shaken back and forth to create a crisscross pattern of fibers, the key to Hanji’s extraordinary resiliency.

11) Draining

The professional master can produce an average of 300 sheets of wet paper a day. The formed fibers are lifted off the screen and laid onto a wooden plate. Stones are placed on top to press out the excess moisture.

12) Drying

Put each sheet of paper on the drying board with a brushing action. The drained sheets of fibers are then left to dry, either in the sun or in a heated room.

13) Flattening

The dried sheets of paper are pounded until they lie flat and smooth.

조 형 균  |  한국한지문화연구회 회장  |  계성종이역사박물관 관장 엮임

한지란 닥나무 껍질의 섬유질을 이용하여 만든 전통 종이를 말한다.
닥나무는 산이나 들판에서 자생하는 나무로, 특히 한국의 기후와 토양에서 자라는 닥나무는 더욱 섬유질이 굵고 종이에 탄력과 윤기를 준다고 한다.

1000년을 살아 숨 쉰다는 한지는 바로 이러한 닥나무 껍질로 만들어져 1600년의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한지는 한국 사람들의 일상적인 삶 깊숙한 곳에 하나의 문화적 형태로 자리잡고 있었다. 오랜 이야기를 담은 책들과 선비들이 남긴 글들이 수백 년 지난 지금까지 전해 질 수 있는 이유 역시 한지의 오랜 생명력을 나타내는 증거로 평가 되고 있다. 일상에서 누구나 즐기며 만들어 사용하던 다양한 한지 공예품은 오랜 시간 속에서도 그 삶의 자취를 남기고 있다.

옛날 조선 백지라고 불리던 전통 한지는 백 번 손이 가야 종이 한 장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백지”라고 부른다는 속설처럼 힘들고 고된 작업이 따르는 종이이다. 먼저 닥나무를 재배하고,닥 무지 작업부터 흑 피를 만들고,삶고,두들기고,종이를 떠서 마지막 포장에 이르기까지 한치의 소홀함도 허용되지 않는 고된 과정을 거치는 작업이다. 특히 종이의 종주국인 중국인들이 " 조선의 종이는 비단 같다. 조선인으로부터 선물을 받을 때는 반드시 종이로 받아라.” 할 정도의 한지는 일본 전통 화지의 원류이다.

 

한지, 즉 닥종이는 우리들 생활 속에 숨쉬고 있는 전통 문화의 진정한 가치를 깨닫게 해 줄 것이며 우리 전통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새삼 느끼게 해 줄 것이다. 천년 이상 명맥을 이어 온 한국의 닥종이는 또 다른 새로운 천 년을 열어 가기를 염원하는 우리의 마음 속에 자리 잡을 것이다.

한국 건축에서 한지는 대표적인 재료라고 할 수 있다.
공기가 잘 통하고 자연의 빛을 담고 있는 한지는 한옥의 문과 벽, 방바닥에 바르는 장판지까지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종이가 귀하게 여겨지던 시절 닥나무 껍질로 만든 손 종이를 창호지라 불렀다고 한다. 한지는 외국에서 들어 온 양지와 구별하기 위해 만들어진 말이라고 한다. 종이의 대표적인 말로 "창호지”라고 부르던 시절, 종이의 쓰임을 짐작하게 한다.

한지 만들기

한 장의 종이가 태어나기 위해 복잡한 과정을 거치고, 좋은 종이를 만들기 위해 그 어느 단계도 소홀히 할 수 없다. 번거롭고 손이 많이 가는 한지는 기계를 사용하여 생산하는 것과는 비교 할 수 없는 고통과 참을성을 요구하기도 한다.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손 맛이 들어 있는 한지는 적어도 열 번 이상 사람 손이 가는 번거로운 과정을 통해서 만들어진다. 아름다운 한 장의 종이가 태어나기까지!

 

닥나무 베기

한지 원료로 쓰이는 나무는 1년생의 어린 나무이다.
한지에 쓸 닥나무는 보통 11월에서 다음 해 2월까지 베어낸다. 옛날 농촌에서는 농한기를 이용해서 한지 만들기를 했던 시기이다

 

닥나무 찌고 껍질 벗기기

거두어들인 닥나무를 쪄서 껍질을 벗긴다. 닥나무에서 벗겨낸 껍질(피닥)을 오래 저장하려면 햇빛에 말려둔다.

물에담그기

흑피제거하기 - 백닥 만들기

닥나무 껍질에 붙어 있는 검은 표피를 제거하기 위해서 피닥을 하루 전날 찬물에 담가 불린다.하루 물에 불린 피닥은 칼로 긁어 흑피를 제거한다.오늘 날 표백제가 있어 표피를 녹여 없애 한 단계 수고를 덜어 주고 있지만 좋은 종이를 얻기 위한 섬유질에 영향을 준다. 자연의 색과 질 좋은 종이를 얻기 위해 화학재료를 쓰지 않는 전통 방식이다.

삶기

준비된 백닥은 잿물을 넣고 약 6~7시간 삶는다.
잿물을 넣고 삶는 방법은 사라져간 전통 한지 만들기에서 가장 어렵게 찾아 볼 수 있는 방법이다. 잿물은 콩대,메밀대,고추대,목화대 등을 태워 만든 재를 시루에 넣고 물을 부어 걸러서 만든다. 소다수 대신 잿물을 넣어 섬유를 삶는 이유는 알카리성으로 높은 열에서 섬유가 파괴되지 않고 탄력을 유지하며 고르게 잘 익히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씻기

삶은 닥은 맑은 물로(흐르는 물)여러 번 헹구어 낸다. 전통 한지는 햇볕 좋은 날 3일간 물 속에 놓아 두고 섬유질 색이 바래도록 하여 하얀 종이를 얻었다.

잡티 제거하기

좋은 종이, 깨끗하고 고른 종이를 얻기 위해 작은 잡티도 일일이 손으로 골라내는 과정을 거친다.

두들기기

돌 위에 섬유를 놓고 나무 방망이로 두드리며 섬유질을 펴는 전통 방법이다.
오늘날은 사람 대신 기계가 대신하고 있지만 한지의 특성에서 나타나는 질긴 종이를 얻기 위한 섬유질이 파괴 된다.

해리.섬유풀기-뭉쳐진 섬유 풀어주기

뭉쳐진 섬유를 풀어 주기 위해 섬유에 물을 넣고 저어 주는 과정이다.

종이를 뜨기 전에 물속에서 섬유가 고르게 분포 되도록 나무 막대기를 이용하여 잘 저어 준 후 준비한 닥풀을 부어 넣고 다시 저어 준다.
좋은 종이를 얻기 위해 깨끗한 물을 사용하는 것은 종이 작업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닥풀 섞기

닥풀이란?

황촉규라고 하는 식물의 뿌리에서 축출하는 닥풀은 포개진 종이를 서로 붙지 않게 분리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닥풀은 사용하기 하루 전날 뿌리에 상처를 내어 찬 물에 담가 두면 끈적한 점액이 나온다.
뿌리 찌꺼기를 걸러내고 끈적한 점액을 사용한다.

한지 뜨기

전통적으로 한지 뜨는 방법을 흘림 뜨기라 한다. 대나무 발을 얹은 나무틀을 앞과 뒤 그리고 옆으로 흔들며 만드는 전통 한지는 물질을 하는 대로 섬유질이 엉켜서 더욱 질기고 탄력 있는 종이가 된다.

물 빼기

숙련 된 장인의 손에 의해 한 장 씩 떠진  종이는 하루 평균 300장씩 쌓여진다. 젖은 종이는 서서히 물이 빠지도록 하룻밤 그대로 놓아두고 다음 날 압축하여 물을 뺀다. 옛날에는 돌을 눌러 놓는 방법을 썼다.

말리기

물기가 제거 된 종이를 한 장씩 나무 판에 붙여 말린다. 종이가 판에 고루 붙도록 붓질을 한다. 옛날에는 태양아래에서 말리기도 했다.

도침.다듬이질

한지 고유의 가공법으로 건조된 종이를 두드리고 다듬이질을 해 주면 표면이 부드러워지고 윤기가 흐른다.

한  삶 길

저녁 있고 아침 있어 한 날

겨울 있고 봄이 있어 한 해

눈물 있고 단이 있어 한 삶

땅 위에 하늘 있어 한 길

장 용 훈  |  "천 년의 꿈" 전시 도록 에서 발췌

"한 지"

'본래 그는 성품이 정결하여 무인보다 문인을 좋아하고 모학사(毛學士) 붓과 교분이 두터웠으며,

학문을 하여 천지음양의 이치와 성명(性命)의 근원에 통달하였고, 제자 백가의 글까지 모두 기록했다.'

조선 초의 문장가 쌍매당 이첨이 지은 '저생전(楮生傳)'의 앞부분이다.

저생전은 종이를 의인화하여 위정자들에게 바른 정치를 권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가전체 문학이다.

우리 종이의 우수성을 이웃 나라로부터 인정받던 고려 말 조선 초의 분위기를 읽을 수 있다.

문학 작품의 소재로도 등장한 우리 종이의 우수성에는 두 가지 비밀이 있다.

재료와 제조 방법이다.

중국의 화지(華紙)나 일본의 화지(和紙)와는 달리 한지(韓紙)는 닥나무 껍질을 주원료로 사용한다.

그래서 질기기로 세계에서 손꼽혔다. 제지법도 종이의 품질을 탁월하게 하는 한 요소다.

종주국 중국은 나무 껍질의 섬유를 갈아서 만들었지만 우리나라는 섬유를 두들겨서 만들었다.

706~751년에 인쇄된 것으로 추정되는 '무구정광대 다라니경'이 섬유를 갈아 만든 종이를 사용한 것과 달리

754~755년께 만들어진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은 갈지 않고 그대로 두들겨서 만든 종이를 사용한 흔적이 있다는 점은 좋은 예화다.

수입 제지법에 만족하지 않고 기술을 한단계 더 발전시킨 결과다.

일찍이 한지가 질기고 품질이 좋다는 명성이 널리 알려져 중국에서는 '고려피지'라는 이름으로 부르기가지 했다.

육당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에는 유명한 한지 몇 종류가 소개 돼 있다.

깨끗하고 만만한 상화지(霜花紙), 얄팍하고 단단하며 매끄러운 선사지(扇子紙), 두껍고 튼튼하기가 쇠가죽보다 더한 자문지(咨文紙),

하얗고 보드랍기가 미인의 손길 못지않는 백면지(白綿紙)가 그것이다. 그러니 조선시대에는 한지가 공물(貢物)목록에서 빠지지 않았다.

그 한지가 21세기 정보기술(IT)시대에 또 한번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이선영 박사팀이 나무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로 만든 나노 섬유로

알루미늄이나 주석과 같은 금속보다 훨씬 더 강한 슈퍼 나노 종이를 개발했다고 한다.

이를 일반 종이를 만드는 공정에도 활용할 수 있다니 '두들겨' 만들던 한지의 미래가 더욱 밝아 보인다.

이제 거기에 담을 콘텐츠의 업그레이드만 남았다.

bottom of page